글꼴에 대한 정리
컨텐츠 정보
- 조회 9,706
- 댓글 4
본문
글꼴을 가지고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무아님 부탁도 있고해서 오늘 오전에 시벨리우스 오랫만에 열고 이리저리 테스트해 보고 정리해서 올립니다.
1. 테스트 환경
- 시벨리우스 7
- 운영체계 : 윈도우7 Ultimate 32bit
2. 시벨리우스에서 바로 적용되는 글꼴들
- 윤서체 계열 ( - 로 시작, Yoon으로 시작 : -유려B, Yoon봄날 등)
- 안상수체
- 나눔글꼴 (나눔고딕, 나눔명조 등)
- 서울글꼴 (서울남산체, 서울한강체 등)
- 양재글꼴 (양재꽃게체, 양재백두체 등)
- 좋은글꼴 (좋은_꼬마배꼽체, 좋은_별난사이다체 등)
- 한컴글꼴 (한컴돋움체, 한컴바탕체)
- 휴먼글꼴 (휴먼나무체, 휴먼소하체 등)
- 한양글꼴 중 HY로 시작하는 글꼴들 (HY태백, HY울릉도 등)
- 마이크로소프트사 기본 제공 글꼴들 (돋움, 바탕, 궁서 등)
3. 시벨리우스에서 적용되지 않는 글꼴들
- 한미디어계열 ((한)으로 시작 : (한)신문명조, (한)한솔신명조 등)
- Asia계열 (Asia로 시작 : Asia동화, Asia로미오 등)
- 문체부글꼴 (문체부 쓰기정체, 문체부 바탕체 등) * 단, 문체부 훈민정음체는 사용 가능함
- 송성훈체
- 한양글꼴 중 한양으로 시작하는 글꼴들 (한양신명조, 한양태그래픽 등)
4. PDF출력과 글꼴
시벨리우스에서는 PDF출력하면 글꼴은 그대로 남습니다.
즉 PDF를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예, 일러스트)에서 얼마든지 글꼴은 변경 가능합니다.
관련자료
-
서명반갑습니다.
미주스코어님의 댓글
그런데 수많은 한글 폰트중에서 가장 많이쓰이는 (윈도우용에 일관된 서체가 아닌)
서체를 열거 해주시면 더 좋을텐데요...
제 말씀은 기존의 윤체(윤디자인) 나 산돌체, 신명, 한컴, SM체, 한양체(HY)
이런 서체들이 한글 서체의 선두주자에 있는데 지금 시벨에서의 서체가 이러쿵 저러쿵...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오픈타입폰트(OTF) 서체의 시대에 발맞춘다면
쥬프님께서 열거하신 서체! 즉 제가 언급한 폰트가 국내의 출판사에서 가장 선호하고 있는
서체라 알고있는데! (윈도우용 서체로 이미 개발되어 있음) 물론 견해 차이는 있을수 있겠으나
(자간 문제나 폰트에서 지원하는 특수문자등 여러가지를 비교해서 드리는 말씀) 고급화된 한글 폰트를
확실히 알리고 또한 양질의 악보 작업에 대한 문제를 제시해야됩니다
다시말해 음표에 붙는 한글 서체가 영문 가사로 변환시 자간문제나 하이폰의 장,단, 특수문자의 표기...
간단히 설명드리기 앞서 서체의 선택은 많은걸 생각하셔야합니다
출판사에서 원하는 서체를 쓰야함이 원칙이지만 [갑과을] 악보작업의 특성한 약물이나 특수문자등을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제 얘기에 공감하시는 분들은 따~봉!)
...
악보정사에 있어 서체의 선택!
아주 중요하구요 대체 하고자 할때~ 대체의 이유와 원인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pro)
최고급의 악보인쇄는 프로그램만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쥬프님의 댓글
예를 들어 일반 인쇄에서는 한글 입력시 장평에서 장을 많이 주는 편이거든요. 자간도 많이 좁히구요. 하지만 악보에서는 자간이 크게 의미가 없지 않나요.
하지만 악보를 편집하면서 무조건 튀는 서체를 선택하거나 맹목적인 선택은 옳지 않다고 봅니다. 미주스코어님 말씀처럼 분명한 이유를 가지고 서체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미학적인 관점과 가독성을 높여 편하게 악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악보의 배치나 음표, 쉼표 및 악상 기호의 배치 등 여러 요소와 더불어 가사의 서체도 분명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미주스코어님의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