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 타임 자유리듬 악보 작성및 연주 두 프로그렘의 비교

작성일 2020.05.08 조회수 19,415 댓글수 7

분류 시벨리우스

멀티 타임 자유리듬 악보 작성및 연주 두 프로그렘의 비교

컨텐츠 정보

본문

sibel.gif

finale2006.gif

위의 두가지 예시 악보는 Sibelius19.5버전에 수록된Reference에 멀티 타임 자유리듬 작성법에서 Chance Music 예제악보다.

o:p
멀티 악보와 자유리듬 컴에서의 연주는 바른 연주인가?

먼저 Finale서 멀티 악보 작성은 악보 시스템서 각각의

파트 타임설정이 독립적으로 가능하다.

위의 Finale(26.2.1버전)작성서 G음자리표는 7/4박 F음 자리표는 8/4박으로 1박의 차이가 발생한다.

작성 때 곡머리에 각각의 타임을 표시한 후 입력한다.

악보를 보면 첫음표만 같은 선상에 일치 다음 음표부터 미세한 차이가 난다.

즉 첫음만 같은 타임에 울리고 다음 음표의 연주는 자유리듬 답게 각각 연주된다.

즉 7박과 8박의 1박의 차이를 평균적으로 분활해 연주한다.

이것이 Finale의 연주 프로그렘밍이다.

o:p
이제 Sibelius(19.5버전)의 작성법을 보자.

Sibelius는 시스템간의 독립적인 타임 기능이 없다.

같은 타임의 보표에서 작성한다.

G음.F음 자리표에 7/4 같은 박자표로 작성한다.

기보된 자유리듬 악보를 보면 첫음 4분음표는 같은 선상에 놓여있다.

다음 음표부터 그 위치가 틀린다. G음 자리표의 4분음표 둘 F음 자리표의 4분음표 3의 위치만 틀린다.

그다음 부터는 모든 음표가 위 아래 모두 같은 템포로 진행한다.

첫 시작 음표 2개와 아래 3개의 음표 2/3을 위의 2박자로

같게 만들기 위해 아래 3박을 2분음표 3연음으로 작성했다.(4분음표3인데 박 수는 2박) 이제 1박자의 차를 해결했다.

멀티 자유리듬은 7/4박으로 연주된다.

이 방법이 Sibelius 프로그레밍이다.

이 연주 방법은Chance music과 맞지 않는 연주이다.

작성된 두종류의 노테이터로 작성된 악보를 연주해 들어 보면 확연히 다르게연주된다.

Finale의 연주가 맞는 연주이다.

관련자료

  • 서명
    lk
댓글 7개 / 1페이지

SUN님의 댓글의 댓글

제가 일단 수정했고요

수정모드에선

좌우가 분리가 되는데

좌측 글씨 수정하면 우측에 반영이 되요

abcjs 악보 표기법때문에 수정모드에선 그렇게 적용했습니다..ㅠㅠ

미주스코어님의 댓글

아! 현대음악 에서도 알지 못했던 악보가 있었네요?
어떻게 들리는지 궁금 합니다!
선생님 덕분에 귀한 표기법 알게되어 감사 드립니다!
일께워 주셔서 거듭 감사 합니다 ^_^
목록
Total 149 / 1 Page
번호
제목
이름
알림 0